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의 웹표준 문서에서 발취한 내용입니다.
강조 (strong, em)
정의
강조 (strong, em)
과 은 문장안에서 강조를 나타낸다. 보통의 브라우져에서 은 이탤릭으로, 은 볼드체로 나타나게 된다. 문장안에서 중요도가 있을 때에는 이 과 을 사용해야 하고 단지 이탤릭이나 볼드를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와 를 사용해야 한다. 스크린리터중에는 이나 태그를 사용하면 그 부분을 큰소리로 강조해서 읽어주는 제품도 있다.
정의
태그는 정의를 나타낼 때에 사용된다.코드
는 컴퓨터 코드를 나타내는 태그이고 는 코드의 결과 출력물을 나타낼때
에 사용한다.
값의 표시는 유저의 키보드 입력을 나타내고, 는 프로그램에서의 변수를 나타낸다.출처
Enter키를 누르세요
는 인용이나 출처를 밝힐 때에 사용한다.축약
는 축약어를 나타내고 은 두문자어를 나타낸다. 이 두가지는 상당히 혼동하기가 쉬운데 보통 그 약어를 그대로 발음하는 것은 을 사용하고 한글자씩 읽는 것은 을 사용한다.인용(blockquote, q)
다른 인용문을 표시할 때에 사용한다.는 block요소의 인용문이고는 inline요소의 인용을 나타낸다. 보통는 인덴트를 해서 보여주게 되고첨자(sup, sub)는 인용문 앞 뒤로 따옴표를 나타내 준다.위첨자나 아래첨자를 나타내고자 할때 하용한다.
x2 + 4x + 4 = (x+2)2
'생활일기 > tip 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부 주석에 대해 (0) | 2007.10.08 |
---|---|
웹표준을 따르면서 form으로 생기는 공백 없애기 (0) | 2007.09.20 |
XHTML1.1의 표준 문서 구조 (0) | 2007.09.20 |